본문 바로가기

2025년 유튜브 vs 숏폼 플랫폼, 진짜 돈 되는 쪽은?

디지털 백수 2025. 5. 3.
반응형

크리에이터 경제는 2025년에도 계속 확장 중이다. 하지만 최근 주목할 점은 콘텐츠 형태의 양극화이다. 한쪽은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 유튜브(롱폼), 다른 한쪽은 빠르게 성장 중인 숏폼 플랫폼(틱톡, 인스타 릴스, 유튜브 쇼츠)이다. 둘 중 어떤 플랫폼이 수익 측면에서 더 유리할까?

유튜브의 강점: 안정적 수익과 깊이 있는 팬층

유튜브는 여전히 크리에이터 경제의 중심이다. 특히 수익 구조 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광고 수익 분배율: 최대 55% 지급 (파트너 프로그램 기준)
  • 슈퍼챗, 멤버십 등 직접 후원 기능 발달
  • 롱폼 콘텐츠 기반의 팬덤 형성 → 브랜드화 용이
"콘텐츠 하나로 6개월 이상 조회수와 수익이 꾸준히 발생합니다. 롱폼의 힘이죠." - 유튜버 '테크리뷰어 K'

 

다만, 영상 제작 시간이 길고 편집 리소스가 많이 들며, 성장 속도는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도 있다.

숏폼 플랫폼의 강점: 바이럴과 빠른 성장

틱톡, 인스타 릴스, 유튜브 쇼츠 등 숏폼 플랫폼은 1분 내외 영상으로 폭발적인 도달률을 자랑한다.

  • 알고리즘 기반 도달: 팔로워 없이도 수십만 노출 가능
  • 트렌드 타기 용이: 빠른 콘텐츠 순환 구조
  • 제작 속도 빠름: 낮은 진입 장벽

그러나 숏폼은 광고 단가가 낮고, 콘텐츠 수명이 짧으며, 브랜드 충성도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숏폼의 수익 구조, 생각보다 복잡하다?

틱톡과 인스타 릴스는 기본적으로 플랫폼 광고 수익 분배가 제한적이다. 크리에이터 펀드나 브랜드 협찬 중심이며, 유튜브 쇼츠만이 비교적 명확한 수익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숏폼 수익 구조 비교:
  • 틱톡: 크리에이터 펀드, 브랜드 협찬, TikTok Shop
  • 릴스: 인스타그램 보너스 프로그램, 협찬 위주
  • 쇼츠: 광고 수익 분배 + 쇼핑 기능 연동

숫자로 보는 수익 차이

2025년 유튜브 공식 발표에 따르면:

  • 유튜브 평균 CPM: 4~8달러 (카테고리별 차이 존재)
  • 숏폼 평균 CPM: 0.3~1.2달러 수준
  • 1만 조회수 수익: 유튜브 롱폼 약 5~6달러, 숏폼은 0.5달러 이하

2025년 수익 전략의 핵심: 병행 운영

전문가들은 "롱폼과 숏폼은 상호보완적 구조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많은 크리에이터가 메인 콘텐츠는 유튜브에, 유입 유도는 쇼츠·틱톡을 통해 운영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고 있다.

결론: 롱폼은 수익, 숏폼은 성장

2025년 기준, 빠르게 성장하고 싶은 크리에이터는 숏폼부터, 장기적 수익을 노리는 크리에이터는 유튜브 롱폼 중심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결국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두 플랫폼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수익성과 도달률을 모두 확보하는 운영 방식이다.

마무리

수익 구조만 놓고 보면 유튜브가 유리하지만, 도달과 빠른 팬층 형성에서는 숏폼이 우세하다. 크리에이터가 처한 환경과 자원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할 시점이다. 중요한 건 플랫폼보다도 일관된 콘텐츠 방향성과 브랜드화 전략이다.

반응형

댓글